자원순환 운동

일회용품 사용 없는 지역축제 시민 의식조사(2024 천안흥타령춤축제)

천안녹색소비자연대 2024. 9. 30. 12:05

2024 천안흥타령춤축제에 방문한 천안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축제 쓰레기 문제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올해는 천안시에서 최초로 푸드존에 [다회용기 서비스]를 도입하여 시민들이 축제 현장에서 직접 다회용기를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축제 일회용품 사용 규제에 대한 찬성 의견 비율이 지난 5K-컬쳐 박람회 때보다 높았습니다. 무려 97%의 수치입니다.

 

다회용기가 도입된 것은 환영할만한 일이고 발생되는 쓰레기의 양도 줄어든 것은 맞습니다. 하지면 아쉬운 점이 없지 않습니다. 우선 축제 공식홈페이지, 안내 리플렛, 홍보 현수막 그 어느 곳에서도 해당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 그렇습니다. 우리는 지금 어떤 연예인이 온다보다 쓰레기를 줄이는 축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죠.

 

일회용품 쓰레기 없는 축제를 만들겠다는 천안시의 의지가 사전에 시민들과 충분히 공유되었다면 다회용기를 플라스틱 쓰레기로 버리는 사람도, 아무 거리낌 없이 병물을 사먹는 사람도 없었을 것입니다.

2024 천안흥타령춤축제에 방문한 천안시민을 대상으로 지역축제 쓰레기 문제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올해는 천안시에서 최초로 푸드존에 [다회용기 서비스]를 도입하여 시민들이 축제 현장에서 직접 다회용기를 사용해보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축제 일회용품 사용 규제에 대한 찬성 비율은 97%로 지난 5K-컬처 박람회 때의 89%보다 높습니다.

 

다회용기 도입은 환영할만한 일이고 쓰레기 발생량도 줄었지만 아쉬운 점이 없지 않습니다. 우선 축제 공식홈페이지, 안내 리플렛, 홍보 현수막 그 어느 곳에서도 해당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 그렇습니다. 우리는 지금 어떤 연예인이 온다보다 쓰레기를 줄이는 축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죠.‘일회용품 쓰레기 없는 축제를 만들겠다는 천안시의 의지가 과연 시민들에게 충분히 공유되었는지 의문입니다.

 

또한 천안시 공식 보도자료에 따르면 푸드트럭과 간편식 총 20개 부스 모두에서 다회용기 사용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이미 비닐랩과 스티로폼으로 포장된 음식을 판매하는 부스도 있었고, 다회용기가 있음에도 아예 안내되지 않는 부스도 있었습니다. [일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와는 분명히 거리가 먼 모습이었습니다. 천안시는 용기 회수율과 방문객 만족도 등을 파악하여 축제 내 다회용기 보급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행정의 책임있는 변화를 기대합니다.